본문 바로가기
에볼러브

한국의 저출산 위기, 해외에서는 어떻게 볼까?

by 하리마우 2023. 4. 27.
728x90
반응형

 

누가봐도 빈부의 격차, 신분사회는 아니지만, 사회적 지위에서 오는 권위적이고

경직된 문화자체가 사회적인 갈등을 일으켜 나타난 대표적인 현상이라는 것이 대부분의 분석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 소멸에 준하는 저출산 이라는 국가 최대 위기중 하나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을 만들어낸 가장 큰 이유는?

 

그럼 이러한 문제를 해외는 어떻게 분석하고, 한국을 바라보고 있을까? 오늘은 그 얘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다음은 해외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한

인식적 사실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소개

 

한국은 세계 최저 수준의 저출산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수십 년 동안 꾸준히 감소해 왔으며, 지금은 인구학적 불균형을 초래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이 위기는 정부와 정책 입안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부부가 더 많은 자녀를 갖도록 장려하는 수많은 이니셔티브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해가 갈수록 상황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상황의 심각성을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통계를 살펴보겠습니다.

2020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이는 한국의 평균 여성이 평생 동안 1명 미만의 자녀를 낳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여성 1인당 2.1명의 자녀를 대체하는 수준보다 훨씬 낮습니다.

더욱이 이 나라의 인구는 2028년에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경제와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2022년 벌써 정점을 찍고 인구는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일반적 예측보다 무려 6년을 앞당긴 결과입니다. 한국의 이러한 문제점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젊은 인재 인력들의 해외유출을 더욱 심해질 것이고, -급여수준, 사회적 유대관계가 어려움등에 의한- 정신 못차리는 정치권은 국론의 분열을 일으켜, 사회적 문제점을 해소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저출산의 원인

 

한국의 낮은 출산율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높은 자녀 양육 비용입니다.

교육의 가치가 매우 높고 부모가 자녀 교육에 막대한 투자를 해야 하는 국가에서 자녀 양육에 따른 재정적 부담은 압도적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도시 지역의 주택 비용은 엄청나게 높아서 젊은 부부가 집을 사서 가정을 꾸리기가 어렵습니다.

또 다른 요인은 결혼과 가족에 대한 젊은이들의 변화하는 태도입니다.

많은 한국의 젊은이들은 경제적 문제나 개인의 자유에 대한 열망을 이유로 결혼을 미루거나 아예 결혼하지 않는 쪽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긱 이코노미와 불안정한 고용의 증가는 청년들이 안정적인 고용을 확보하고 미래를 계획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저출산의 결과

 

 

 

저출산의 결과는 광범위하며 경제와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결과 중 하나는 노동력 감소로, 이는 숙련된 근로자의 부족과 생산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고령화 인구는 의료 및 연금 시스템에 부담을 주어 정부에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안겨줍니다.

또 다른 결과는 소비 지출 감소로, 이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젊은 가족이 적어지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어 경제 성장이 감소합니다. 게다가 저출산은 혁신과 창의성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젊은이가 적다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점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정부 이니셔티브

 

 

 

한국 정부는 저출산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이니셔티브를 시행했습니다. 가장 중요한 사업 중 하나는 자녀가 있는 부부에게 금전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출산·육아 지원' 정책이다. 정부는 또한 보육 및 교육에 보조금을 지급하여 가족이 자녀를 양육하는 것을 더 저렴하게 만듭니다.

게다가 정부는 결혼과 가족에 관한 문화적 규범을 바꾸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캠페인의 목적은 보다 가족 친화적인 직장 문화를 촉진하고 젊은이들이 더 일찍 가족을 시작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장려하는 것입니다.

또한 정부는 높은 주택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젊은 부부가 보다 쉽게 ​​주택을 구입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정책들이 실패로 돌아 갔다는 분석입니다.

정부가 근본적인 사회현상에 대한 답을 찾고 있지 못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이런 상태라면, 정부는 이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명확한 정책을 절대 만들수 없을 겁니다.

이미 정치권은 이 문제의 해결에 대한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 입니다.

 

맺으며....

 

결론적으로 한국의 저출산 위기는 시급한 관심이 필요한 국가비상사태입니다.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아직 갈 길이 멀고 험합니다.

오히려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절대

그 근본 해결책을 만들어내지 못할 것입니다.

정치권과 함께 사회자체가 완전히 새로운 전환을 하지 않는 이상 말입니다.

에볼러브 /

 
반응형

댓글